"적과 흑"은 프랑스 작가 스탕달이 1830년 발표한 소설로 19세기 프랑스 사회의 사회적 계급과 정치적 갈등 등에 대해 적나라하게 표현하고 있습니다. 오늘은 스탕달의 소설 "적과 흑"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스탕달은 어떤 인물인가
스탕달의 본명은 마리앙리 벨이지만, 그가 존경했던 독일의 예술비평가 빙켈만이 태어난 도시 이름인 슈텐달에서 자신의 필명을 따왔습니다. 스탕달은 1783년 프랑스 그르노블에서 태어나 어려서부터 문학과 예술에 관심이 많았고 재능을 일찍부터 보이기 시작했습니다. 그는 그르노블 예수회 대학에서 고전 문학과 철학에 대한 공부를 했는데, 사실 가정에서 특히 아버지는 그가 문학도로 커가는 것을 반대했습니다. 하지만, 그의 문학과 예술에 대한 사랑을 꺽을 수는 없었는데요. 그는 아버지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문학가로 발을 내딛게 됩니다.
스탕달은 프랑스 혁명과 나폴레옹 전쟁을 비롯한 당대의 정치적 격변을 격게 되는데, 이런 사건들은 그의 문학작품에도 많은 영향을 주게 됩니다. 스탕달은 그의 작품에서 부르주아 사회에 대한 신랄한 비판과 개인의 욕망과 사회적 제약 사이의 문제들을 진지하게 다루고 있습니다. 스탕달은 1830년 "적과 흑"을 발표했는데, 처음에는 비판의 목소리도 많았고 엇갈린 평가를 받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많은 문학가와 대중들로부터 인정을 받게 되었습니다.
스탕달은 사람들의 화려한 산문을 피하고 보다 직접적이고 절제된 접근 방식을 선호하여 문학적 사실주의의 선구자라는 명성을 얻게 되었습니다. 그는 소설 외에도 수필가이면서 문학 평론가, 회고록 작가이기도 했습니다. 그의 작품은 예술, 음악, 사랑, 정치 등 다양한 장르와 주제를 다루고 있는데요. 평생 동안 수많은 좌절과 어려움을 겪었음에도 불구하고 많은 작품을 남기고 세상을 떠났습니다.
소설 "적과 흑"의 줄거리
신학을 배우는 줄리앙은 목수 집안의 아들이지만, 자신은 평민의 신분을 벗어나고 싶어 합니다. 그는 위대한 영웅인 나폴레옹처럼 전쟁에서 활약하고 출세하고 싶어 하지만, 그의 신분으로는 불가능하기 때문에 좌절하게 됩니다. 하지만, 그가 신분을 높일 수 있는 방법으로 찾아낸 것이 바로 상류층의 귀부인들과 친밀하게 지내면서 신분을 높이고자 했는데요. 그는 작은 도시의 시장 집에 가정교사로 들어가 시장의 아내를 유혹해 그녀와 불륜을 저지르게 됩니다.
이후 시장의 부인과 불륜을 저질렀다는 소문이 퍼지자 줄리앙은 가정교사를 그만두고 신학교로 들어가 성직자가 되는데요. 그가 라틴어 실력이 뛰어나 늙은 대주교가 그 점을 높이 사 성직자가 되었지만, 이 또한 출세를 위한 계획된 과정이었습니다. 줄리앙은 파리의 권력의 중심에 있던 라 몰 후작의 개인 비서가 되고, 후작의 딸인 마틸드를 유혹하게 됩니다. 그년는 워낙 성격이 반항적이고 자존심이 세지만, 줄리앙의 매력과 유혹에 넘어가 잠자리를 하게 되고 결국 임신하게 됩니다. 라 몰 후작은 어쩔 수 없이 줄리앙을 귀족신분으로 만들기 위해 많은 돈과 땅을 주게 됩니다.
드디어 자신의 꿈을 이룬 줄리앙은 새로운 성을 얻고 기병대 중위로 임관까지 하면서 출세의 길이 열리게 되는데, 어처구니 없게도 예전 불륜을 저질렀던 시장의 부인인 레날 부인이 그동안 있었던 일을 모조리 편지에 적어 라 몰 후작에게 보내 폭로하게 됩니다. 분노한 라 몰 후작은 딸의 결혼을 취소하게 되지, 화가 난 줄리앙은 레날 부인을 총으로 쏘게 됩니다. 부인은 살아남고, 줄리앙은 붙잡혀 사형 선고를 받게 됩니다. 줄리앙을 여전히 사랑하고 있는 레날 부인과 마틸드, 그의 친구들은 그를 구하기 위해 노력하지만 그는 끝내 단두대에서 참수형을 당하고 맙니다.
소설 "적과 흑"을 읽고
이 소설은 자신의 삶에서 신분을 뛰어넘어 출세를 꿈꾸던 줄리앙의 과감하고 무모한 도전을 다루고 있는데요. 출세를 위해 당시 사회적 신분을 높이기 위해 치밀하면서도 비열한 계획과 도전을 하는 모습은 당시 프랑스 사회의 계급적 한계와 인간의 욕망을 적나라하게 보여주고 있습니다.
이 소설에서는 캐릭터들의 묘사가 아주 강렬한데요. 줄리앙 소렐은 출세에 대한 야망이 뛰어나지만 주변 사람들과의 갈등을 동시에 가지고 있는 인물로, 보는 이들로 하여금 그의 열정과 추진력에 호감이 가기도 하지만 무모한 모습에 안타까움을 자아내고 있습니다. 이와 함께 그 시대에 출세에 대한 사회적 한계와 그 한계를 뛰어넘기 위해서는 정상적인 방법으로는 불가능한 현실을 적나라하게 보여주고 있습니다.
소설 "적과 흑"은 3인칭 전지적 관점을 사용하여 독자가 등장인물의 내면적 생각과 동기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고 있습니다. 이런 서사 스타일은 소설에 친밀감을 가지게 하여 독자들로 하여금 줄리앙의 정신세계에 접근하여 그의 생각과 과정을 함께 경험하도록 만드록 있습니다.
함께 읽으면 좋을 책
'Book Review'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볼테르의 소설 "캉디드", 풍자를 통한 낙관주의와 사회에 대한 신랄한 비판 (1) | 2024.03.29 |
---|---|
톨스토이의 소설 "전쟁과 평화", 전쟁 상황에서 깨닫는 사랑과 삶의 의미 (0) | 2024.03.28 |
피에르 쇼데를로 드 라클로의 소설 "위험한 관계", 인간 본성과 욕망의 한계 (1) | 2024.03.26 |
유진 오닐의 희곡 "밤으로의 긴 여로", 가족의 연결과 갈등, 그리고 우정과 사랑 (0) | 2024.03.25 |
프랜시스 스콧 피츠제럴드의 소설 "위대한 개츠비", 아메리칸 드림의 성공과 절망 (2) | 2024.03.24 |